눈건강

안과 의사가 이야기해준 렌즈 착용시 하지 말아야 할 5가지

누니뽀 2023. 2. 3. 15:21


안과 의사 선생님이 이야기해 준 콘택트렌즈 사용 시 하지 말아야 할 7가지

코로나시국으로 마스크착용을 의무화되면서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빈도가 많이 늘었다.

안경착용하면 습기 차고 안경 벗으면 안 보이고 답답한 게 당연합니다. 그러다 보니 콘택트렌즈 연령대가 1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해졌습니다.

 

안경을 벗어 편안하게 다니지만 안과 전문 의사선생님들은 말합니다. 렌즈를 깨끗하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그렇지 않다면 바닥에 여러 번 굴린 주사위를 눈에 착용하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1. 수돗물에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행동

콘택트렌즈 세척액을여러개 구비를 해놓고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간혹 여행 가서 놓고 오는 경우나 콘택트렌즈를 당장 빼야 하는 상황에서 세척액이 떨어지는 경우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급하다 보니 수돗물에 렌즈를 보관하신 적이 있을까요? 어느 정도 적절한 대안처럼 생각되긴 해도 수돗물로 콘택트렌즈 보관 또는 세척은 피해 주셔야 합니다.

수돗물에는 살균이 되었다고 하지만 가시아메바라는 미생물이 살고 있고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이라며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 가시아메바 미생물이 렌즈 표면에 붙어 렌즈착용 시 눈이 감염될 수 있습니다.

통증, 출혈, 이물질, 시야 흐림, 빛에 민감하며 눈물이 자주 나오는 증상이 있다면 안과를 바로 방문하는 것이 좋다.

감염이 된걸 빨리 인지하고 안과를 방문해서 치료를 받으면 괜찮지만 무시하고 그냥 지내게 될 시 제일 안 좋은 경과로는 시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2.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잠을 자는 행동

술에 취해 잠들거나 오랜 시간 동안 공부, 업무 후 너무 졸려 잠드는 경우 많이 있습니다.

그런 경우 아침에 일어나면 눈에 눈곱도 많고 눈에 충혈이 돼있지 않았을까요? 저희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산소공급이 안 돼서 충혈이 발생됩니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눈에 들어가는 산소의 양이 급격히 감소됩니다. 

여기서 또 잠을 자면 눈꺼풀까지 감기게 되겠죠? 눈이 닫히게 되면 더욱 산소 공급이 어려워져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하면 백내장과 같은 병을 유발할 수 있어요.

피곤하더라도 콘택트렌즈는 꼭 제거 후 편하게 잠자리에 드는 걸 추천드립니다.

 

 

3.콘택트렌즈를 착용 후 샤워하거나 수영

콘택트렌즈는 전용 세정제가 아닌 바닷물, 수돗물, 수영장 물 은 피해 주시는 게 좋아요.

미생물은 저희 눈으로 확인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렌즈 착용후 수영과 샤워는 피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모르고 착용하신 경우는 바로 버리는게 좋습니다.

 

 

4. 손을 씻지 않고 렌즈를 빼는 행동

손은 많은 일들을 합니다. 문도 열고 핸드폰도 만지고 다른 사물도 만지며 이곳저곳 돌아다니는 손으로 씻지 않고 렌즈를 제거하면 손에 있는 세균들이 눈에 다 묻어버립니다.

물론 모든 세균이 눈에 들어간다고 염증이 생기거나 문제가 일어나지는 않지만 눈이 쉽게 망가질 수 있는 요인중 하나입니다. 그러니 렌즈를 제거하실 때는 손을 꼭 씻고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잘 닦은 후 렌즈를 빼주시면 됩니다.

 

 

 

5. 렌즈의 기간을 늘려서 착용하는 행동

콘택트렌즈는 정해진 기간이 있습니다. 원데이렌즈, 한 달 착용렌즈, 6개월 착용렌즈등 여러 가지 많이 있는데요.

특히 원데이렌즈를 하루만 착용하지 않고 2일/3일/7일까지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글을 보시는 분들 중 이렇게 착용하시는 분들은 오늘부터라도 자제하시는 게 좋습니다.

일회용 나무젓가락을 오늘 쓰고 내일 쓰고 내일모레까지 쓰는 행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눈건강을 생각하신다면 기간에 맞게 착용 부탁드립니다.